소니 a6700 플래그십 미러리스 카메라 출시 스펙 장단점 공개 유튜브 카메라
소니가 7월 12일(현지시간) 신제품 미러리스 카메라 'a6700'을 공개했습니다. 이는 전작 a6600 이후 무려 4년 만에 출시된 후속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6700의 주요 변경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니 a6700 외형 디자인
가벼워진 무게 493g, 이중다이얼모드, 그립부, 스위블액정
미리 사용해 본 해외 매체들은 a6700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a6000 시리즈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인 편의성이 개선되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평면적으로 잡기가 불편했다면, 그립부가 더욱 튀어나와 잡기가 편리해졌으며, 무게도 493g으로 이전 모델보다 가벼워졌습니다. 카메라는 가벼운 게 최고라고 생각하는 저에게는 희소식이었습니다.
또한 최신 a7 시리즈 카메라에서 사용된 이중 모드 다이얼이 후면에 탑재되었습니다. 전면 다이얼의 추가와 후면의 이중 모드 다이얼은 특히 호평을 받았습니다. 전면 다이얼은 오른손 검지가 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조리개나 셔터 속도와 같은 설정을 촬영 중에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 모델에서는 후면 다이얼만 존재하여 변경 가능한 설정의 범위가 제한되었습니다.
a6700은 이전 모델보다 스위블 액정을 탑재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로 구도나 셀피 촬영 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메모리카드 슬롯의 위치가 하단에서 측면 인터페이스 단자로 이동되었습니다. 이는 카메라를 삼각대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메모리카드를 교체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a6700 세부 스펙
2600만화소, 4K 120p 지원 동영상, AI 자동프레이밍
a6700은 ZV-E1에서 소개된 신형 메뉴 UI와 터치 컨트롤 기능을 도입하여 조작감을 향상했습니다. a6700은 사진 및 영상 촬영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능들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센서 해상도가 2420만 화소에서 2600만 화소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이면조사(BSI) 센서의 적용으로 자동 초점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사람, 동물 및 새의 눈 인식 능력도 이전 모델 대비하여 각각 60%와 40% 향상되었습니다. 초점 포인트의 수도 이전의 425개에서 759개로 늘어나 넓은 영역에서 정확한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녹화 기능도 탁월합니다. a6700은 최대 4K 120p 10비트 영상 녹화를 지원하며, 이는 APS-C 카메라 중에서는 후지필름 X-H2S 다음으로 높은 사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120p 모드에서는 화각이 1.6배 좁아지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4K 60p 옵션을 사용하면 화각 손실 없이 동영상 녹화가 가능하며, '오버샘플링' 기술을 통해 6K 해상도로 녹화한 후 4K로 압축함으로써 화질을 향상했습니다. 또한, 'AI 자동 프레이밍' 기능도 지원됩니다. 이 기능은 동영상 녹화 도중 피사체를 추적하여 최적의 구도로 장면을 자동으로 잘라내는 기능으로, 정지 상태에서도 움직이는 것처럼 생동감을 더할 수 있습니다. 촬영 편의성 또한 개선되었습니다.
처리 속도, 발열 단점
a6700의 연속 촬영 속도는 초당 11장으로 이전 모델인 a6600과 동일합니다. 그러나 해상도가 증가한 만큼 이미지 처리 속도가 조금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버퍼 용량이 늘어나 압축된 RAW 형식으로 약 60장까지, JPG 촬영 시에는 제한 없이 연속 촬영이 가능합니다. 발열 및 손떨림 보정 성능은 '그럭저럭 보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높은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설정으로 동영상을 녹화하면 센서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열 테스트 결과, 4K 24p 옵션에서는 46분, 4K 60p 옵션에서는 26분 후 발열로 녹화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는 발열 수준이 나쁘지는 않지만 완벽하다고도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쉬운 결과지요. 아주 고화질의 영상 촬영을 진행하시는 분들은 좀 더 고민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러나 풀 HD 해상도로 녹화할 경우 2시간 이상 녹화해도 발열 경고가 표시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수 있습니다. 손떨림 보정 성능은 전작과 동일한 5 스톱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소니는 픽셀 단위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손떨림 보정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하였으나, 이를 실제로 체감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풀프레임 카메라의 다이내믹 액티브 손떨림 보정 기능은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는 화각을 좁히지만 손떨림 보정 성능을 30% 이상 향상시키는 기능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APS-C 카메라에서 구현하기 어렵다고 추측됩니다.
결론
저는 살만한 카메라라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으로 a6700은 사진 및 영상 성능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최신 기능을 대부분 적용한 카메라이기 때문입니다. 해외 매체인 PetaPixel은 a6700이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기다릴 가치가 있는 만능 카메라로 평가하였습니다. a6700은 8월 초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본체 기준으로 1399달러로, 우리돈 180만 원대 정도 전작과 동일합니다.
'IT 가전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의 아이폰 롤러블? 롤러블 폰이란? (0) | 2023.07.15 |
---|---|
SKT 0 청년 요금제 변경 후기 내돈내산 0데이 (0) | 2023.07.14 |
투명 스마트폰 등장! 낫싱 폰원 폰투 가격 (6) | 2023.07.12 |
챗GPT 에러 오류 원인 해결방안 (0) | 2023.07.11 |
닌텐도 스위치 2세대 출시 일정 스펙 루머 총정리 (0) | 2023.07.10 |